• 분산환경에서 Tsid 사용하기

    대부분 데이터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ID(Primary Key)를 사용하는데, 전통적인 RDB에서는 AUTO_INCREMENT 같은 단일 시퀀스로도 충분했었다. [더보기]

  • 최근 근황 (이라 쓰고 블라블라..)

    마지막으로 블로그에 글을 쓴 게 2019년이니까 벌써 6년 전이다. 오랜만에 글을 남기며, 왜 이렇게 긴 시간 동안 블로그를 방치하게 되었는지 정리해본다. [더보기]

  • Kotlin in Action - 2장 코틀린 기초

    kotlin in action - 2장. 코틀린 기초를 다시 보며 정리하는 내용입니다. [더보기]

  • Kotlin 기본 타입

    자바와 같이 long은 suffix로 L 또는 l을 붙인다 val one = 1 // Int val threeBillion = 3000000000 // Long val oneLong = 1L // Long val oneByte: Byte = 1 [더보기]

  • Kotlin 기본 문법

    jetbrains이 만들었다는 부분부터 매력으로 느끼고 있었는데(사랑합니다 jetbrains), 어느 순간부터 Spring 레퍼런스 문서에 Java 코드를 코틀린으로도 작성할 수 있다고 보여주기 시작하더니, Gradle 5.0에서도 Gradle Kotlin DSL을 지원하기 시작했다. [더보기]

  • 도메인 모델에 set 메소드 사용하지 않기

    DDD Start! - 도메인 주도 설계 구현과 핵심 개념 익히기 (지은이 최범균)의 Chapter1에 해당 되는 내용을 다시 한 번 보면서 정리한 내용이다 Domain 모델을 생성할 때, 예전(DDD를 적용하지 않았던 시절..)에는 기계적으로 Lombok의 @Getter, @Setter를 사용했었다. 이렇게 도메인 모델에 public set met... [더보기]

  • Spring Cloud Bus

    Spring Cloud Bus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 [더보기]

  • Spring Cloud Config

    Spring Cloud Config Server에 대해서 알아봅니다. [더보기]

  • Spring Cloud?

    블로그에 Spring Cloud라는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었습니다. 앞으로 Spring Cloud와 관련된 것들을 공부하고 글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. Spring Cloud에 대해서 공부하고 블로그에 글을 남겨봐야겠다는 생각이 갑자기 든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. [더보기]

  • DDD와 Setter, Default Constructor에 대해서

   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DDD(Domain-Driven Design)를 적용하고, 코드리뷰를 진행하면서 몇 분들이 궁금해했던 내용에 대해서 정리를 해두려고한다. [더보기]